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공무원시험 가산점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공무원 시험은 거의 백지 한장 차이로 당락이 결정이 됩니다.
그래서 경찰공무원이나, 일반공무원들도 가산점을 따기위해 다들 준비를 하는데요.
아래는 한국사능력검정 시험합격시 가산점을 주는 내용등을 알아 봤습니다.
- 「공무원임용시험령」개정, 5급 공채 응시 자격화(’10.2.12.)
- 2012년부터 동 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처 시행 5급 공채 및 외교관 후보자
선발시험에 응시 자격 부여 -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규칙」일부 개정, 교원임용시험 자격시험화
(교육과학기술부령 제169호, ’12.12.28.)
- 2013년부터 동 시험 3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교원임용시험 응시 자격 부여 - 국비 유학생, 해외 파견 공무원, 이공계 전문연구요원(병역) 선발 시 한국사 시험을
동 시험 3급 이상 합격으로 대체 - 2014년부터 동 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처 시행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 추천 자격요건 부여
- 「헌법재판소공무원규칙」개정, 5급 공채 응시 자격(’13.12.10.)
공무원시험 가산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법원공무원규칙」개정, 5급 공채응시 자격화(’14.4.3.)
- 「공무원임용시험령」개정,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가산점 부여(’15.5.6.)
- 4대사관학교(공군·육군·해군·국군간호사관학교) 입시 가산점 부여(’16.)
- 2017년부터 수능에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중고생 응시 증가)
- 「군무원인사법 시행령」개정, 군무원 5․7․9급 공채 응시 자격화(’16.11.22.)
- 2018년부터 군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한국사 과목을 동 시험으로 대체 - 일부 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직원 채용이나 승진 시 반영
- 「공무원임용시험령」개정, 7급 공채 동 시험 2급 이상 응시 자격화(’18.12.18.)
- 국가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21.) 및 지방공무원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21.) - 경찰청 및 해양경찰청 순경 등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한국사과목을 동 시험으로
대체 예정(’22년 적용)
- ※ ’20년 기준 연간 232개 기관(중복 포함) 175,238명 인증정보 제공.
※ 인증서 유효 기간은 인증서를 요구하는 각 기관에서 별도로 정함.
참고로, 가상화폐에 관심있는 분들을 위해, 핸드폰 무료채굴할수 있는, 제2의 비트코인이라 기대받는 파이코인 추천드리면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공무원시험 가산점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