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찰 순경 기출문제 반드시 제출됨

by 엘엘 2023. 1. 16.
반응형

경찰 순경 기출문제 반드시 제출될수 있는 문제 준비 했습니다.

 





매우 중요한 문제이니. 해설까지 완벽하게 알아 두세요.

 

① 피고인이 동거중인 피해자의 지갑에서 현금을 꺼내가는 것을 피해자가 현장에서 목격하고도 만류하지 아니하였다면 피해자가 이를 허용하는 묵시적 의사가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여 이는 절도죄를 구성하지 않는다. [대법원 1985.11.26. 85도1487]





 

② 중대장의 지시에 따라 관사를 지키고 있던중 중대장과 함께 외출나간 그 처로부터 24:00경 비가 오고 밤이 늦어 혼자 귀가할 수 없으니 관사로부터 1.5킬로미터 가량 떨어진 지점까지 우산을 들고 마중을 나오라는 연락을 받고 당번병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로 생각하고 그 지점까지 나가 동인을 마중하여 그 다음날 01:00경 귀가한 경우, 당번병의 관사이탈 행위는 중대장의 직접적인 허가를 받지 않았더라도 당번병으로서의 그 임무범위내에 속하는 일로 오인하고 한 행위로서 그 오인에 정당한 이유가 있어 위법성이 없다. [대법원 1986.10.28. 86도1406]

 

③ 병역법 제88조 제1항은 국방의 의무를 실현하기 위하여 현역입영 또는 소집통지서를 받고도 정당한 사유 없이 이에 응하지 않은 사람을 처벌함으로써 입영기피를 억제하고 병력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이다. 위 조항에 따르면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피고인을 벌할 수 없는데, 여기에서 정당한 사유는 구성요건해당성을 조각하는 사유이다. 이는 형법상 위법성조각사유인 정당행위나 책임조각사유인 기대불가능성과는 구별된다. [대법원 2018.11.1. 2016도10912]

 

④ 사용자의 직장폐쇄는 사용자와 근로자의 교섭태도와 교섭과정, 근로자의 쟁의행위의 목적과 방법 및 그로 인하여 사용자가 받는 타격의 정도 등 구체적인 사정에 비추어 근로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방어수단으로서 상당성이 있어야만 사용자의 정당한 쟁의행위로 인정될 수 있고 [대법원 2002.9.24. 2002도2243]





사용자의 직장폐쇄가 정당한 쟁의행위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 근로자가 평소 출입이 허용되는 사업장 안에 들어가는 행위는 주거침입죄를 구성하지 않는다. [동일판례]

이상으로 경찰 순경 기출문제 반드시 출제 될수 있는 문제 알아 보았습니다.

 

궁금한것은 댓글 달아주세요.